반응형
1. 혼자 모든 걸 하려 하지 마세요
❌ “자식인데 내가 해야지…”
❌ “남에게 맡기면 죄책감 들어서…”
이런 마음으로 모든 책임을 짊어지면 금방 탈진하게 됩니다.
✔ 꼭 기억하세요
- 돌봄은 **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 ‘함께 나누는 일’**입니다.
- 공단 서비스, 주간보호, 방문요양을 적극 활용하세요.
- 돌봄을 장기 레이스로 생각하고 내 체력과 삶도 중요하게 여기세요.
2. 어르신의 ‘자율성’과 ‘존엄성’ 지켜주세요
❌ 아이 다루듯 무조건 도와주기
❌ “엄마 그거 하지 마요!” “위험해요!” → 자존감 하락
✔ 이렇게 해보세요
- 가능한 한 스스로 할 수 있는 부분은 하도록 격려
- 말투는 명령이 아닌 존중과 설명 중심으로
- 옷, 식사, 화장실 등 프라이버시 존중 잊지 마세요
3. 치매, 중풍, 당뇨 등 질환별 특성을 꼭 이해하세요
- 치매 어르신은 혼잣말·반복 질문이 많고
→ 감정에 공감하며 짧게 대답하는 것이 좋습니다 - 편마비 어르신은 한쪽 팔·다리 사용 어려움
→ 침대, 의자 위치 조정이 중요합니다 - 당뇨 어르신은 식사와 운동 시간 관리가 필수입니다
📌 질환별 케어법은 공단에서 무료 교육 및 자료 제공 중이니 활용하세요.
4. 가족요양비 수령 시 ‘서비스 중복’ 주의
가족이 돌보고 가족요양비를 받는 경우,
동시에 방문요양서비스를 받으면 부정수급으로 간주될 수 있어요!
구분가능 여부
가족요양비 + 방문요양 | ❌ 불가능 |
가족요양비 + 복지용구 | ✔ 가능 |
가족요양비 + 단기보호 | ✔ 가능 (휴식 목적 시) |
✔ 가족요양비를 수령 중이라면,
꼭 공단과 상의하여 이용 가능한 서비스 범위를 확인하세요.
5. 낙상·욕창·화상 주의 환경 만들기
주의사항 | 실천 예시 |
낙상 예방 | 미끄럼방지매트, 손잡이 설치, 방 구조 단순화 |
욕창 예방 | 2시간마다 체위 변경, 방석·매트 사용 |
화상 예방 | 전기장판, 온수찜질기 등 사용 시 저온화상 주의 |
외출 시 | 휠체어 안전벨트, 지팡이 길이 점검 |
6. 가족의 정신건강도 챙기세요
돌봄을 오래 지속하면
→ 우울감, 분노, 자기비난, 고립감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.
✔ 반드시 기억하세요
- 돌봄 스트레스는 정상적인 감정입니다
- 복지관·공단 심리상담 프로그램 활용 가능
- 돌보는 나 자신을 돌보는 것이 어르신에게도 도움이 됩니다
7. 꼭 활용하면 좋은 제도들
제도명 | 활용 내용 |
방문요양서비스 | 요양보호사가 주기적으로 와서 케어 지원 |
가족요양자 휴식제도 | 보호자 대신 돌봄 제공, 단기보호센터 등 |
복지용구 지원 | 전동침대, 손잡이, 미끄럼방지매트 등 연간 160만 원 한도 지원 |
가족요양비 | 요양보호사 자격 가진 가족에게 월 15~21만 원 지급 |
요약 한 줄
“가족 돌봄은 나 혼자 감당하는 일이 아니라, 함께 나누고 시스템을 활용해야 가능한 일입니다.”
반응형
'노인장기요양보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족요양자 휴식제도 쉽게 알기 (0) | 2025.07.16 |
---|---|
장기요양보험 vs 민간보험, 간병보험 차이점 (1) | 2025.07.15 |
가족이 꼭 알아야 할 요양비용 관리 팁 (0) | 2025.07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