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장기요양보험 혜택 “총 한도”부터 파악하자
장기요양은 등급별 월 한도 금액이 정해져 있고,
이 범위 내에서는 90~100% 공단 부담으로 이용 가능합니다.
등급 | 월 이용 가능 한도 (2025년 기준) |
1등급 | 약 180만 원 |
2등급 | 약 160만 원 |
3등급 | 약 145만 원 |
4등급 | 약 135만 원 |
5등급 | 약 120만 원 |
인지지원등급 | 약 60만 원 |
👉 이 금액을 어떻게 조합해 사용하는지가 핵심!
2. 방문요양 vs 주야간보호, 조합해서 활용하기
단일 서비스만 이용하는 것보다
방문요양 + 주야간보호 + 복지용구 조합이 가장 실속 있는 사용법입니다.
예시) 3등급 어르신
- 주야간보호 주 3회
- 방문요양 주 2회
- 복지용구 전동침대 대여
➡ 공단 급여 한도 내에서 조정 가능,
불필요한 자기부담 줄이고 맞춤 케어 가능!
3. 본인부담금 줄이는 법 3가지
월 이용 가능 한도 (2025년 기준) |
설명 |
① 감경 대상 여부 확인 | 건강보험료 낮은 가정은 **본인부담률 6~9%**로 감면 가능 (차상위·수급자 등) |
② 복지용구 현명하게 활용 | 대여 품목(전동침대, 휠체어) 위주로 이용 → 구입보다 부담 적음 |
③ 식사·차량비 확인 | 주야간보호센터의 부가 비용 확인 후 선택 (센터별로 1일 5,000원 차이 나는 경우도 있음) |
4. 요양비용 누수 막는 체크리스트
매달 이용내역서 꼭 확인하기
→ 부당청구, 중복청구 여부 확인 가능
기관에 잔여 이용금액 남았는지 확인
→ 소진하지 못하면 복지용구 추가 활용 가능
센터 간 견적 비교하기
→ 같은 급여도 부가비용(간식비, 차량비 등) 다를 수 있음
5. 가족이 직접 돌본다면 “가족요양비” 신청!
- 요양보호사 자격이 있는 가족이
직접 어르신을 돌보면 월 최대 21만 원 지급 - 단, 다른 재가서비스(방문요양 등) 동시에 이용 불가
- 요건 충족하면 소득보전용으로 아주 유용함
“방문요양비 아껴보자” 하고 가족이 무보수로 돕는다면
→ 가족요양비로 정식 급여 받는 게 현명한 선택!
6. 부가 비용 예상표 (참고용)
설명 | 항목금액(예상) | 비고 |
주야간보호 식비 | 1일 3,000~7,000원 | 센터별 다름 |
차량비 | 보통 무료 | 간혹 왕복 유류비 별도 |
복지용구 구입 | 2,000~15,000원 | 품목별 본인부담 발생 |
비급여 활동비 | 0~20,000원/월 | 프로그램·간식비 등 |
7. 장기요양 가족 관리 꿀팁 한줄 요약
“공단 급여 한도 내에서 서비스 조합 + 감경 대상 확인 + 정기 이용내역 체크!”
반응형
'노인장기요양보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건강보험료 기준별 감경 대상 계산표 (2) | 2025.07.13 |
---|---|
감경 대상자 & 저소득층 혜택 총정리 (1) | 2025.07.13 |
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계산법 총정리 (3) | 2025.07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