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장기요양보험 비용 구조 먼저 이해하기
장기요양서비스는
총 이용 금액(급여비용) 중 일정 비율만 본인이 부담합니다.
구분 | 본인부담 비율 |
일반 대상자 | 15% |
경감 대상자(감경자) | 9% 또는 6% |
기초생활수급자 | 0% (전액 무료) |
본인부담금 계산 공식
본인부담금 = 월 서비스 이용금액 × 본인부담율
실제 사례별 계산 예시
예시 1) 방문요양 하루 1시간씩 주 5회 이용
- 월 약 20회, 1회 단가 약 13,000원
- 총 이용 금액: 13,000 × 20 = 260,000원
본인부담 비율 | 대상자부담률 | 본인부담금 |
일반 | 15% | 260,000 × 0.15 = 39,000원 |
경감(9%) | 9% | 260,000 × 0.09 = 23,400원 |
수급자 | 0% | 0원 (무료) |
예시 2) 주야간보호 하루 8시간씩 주 3회
하루 약 40,000원, 월 12회 → 총 이용금액: 480,000원
대상자 | 부담률 | 본인부담금 |
일반 | 15% | 480,000 × 0.15 = 72,000원 |
경감(6%) | 6% | 480,000 × 0.06 = 28,800원 |
수급자 | 0% | 0원 |
본인부담 경감 대상자는 누구인가요?
구분 | 감경율 | 해당 조건 |
기초생활수급자 | 100% 감면 | 건강보험료 0원 |
차상위계층 | 94% 감면 (6% 부담) | 건강보험료 약 3만 원 이하 |
일반 저소득층 | 85 |
건강보험료 일정 수준 이하 (소득에 따라) |
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자동 심사 및 적용
등급 신청 시 함께 확인 가능
추가로 드는 비용은?
항목 | 내용 |
식사비 | 주야간보호 등에서 급식비 별도(1식 약 3,000~5,000원) |
교통비 | 무료 차량운행 제공(센터별 다름) |
복지용구 | 연 160만 원 한도 내 → 구입 시 일부 본인부담금 발생 |
추가 서비스 | 비급여 항목은 별도 비용 발생 가능 (예: 미용, 간식 등) |
본인부담금 낮추는 팁!
✔ 장기요양등급이 결정되면
→ 반드시 소득 기준에 따라 감면 신청 여부 확인
✔ 한 달 이용 계획표(이용계획서)를 작성할 때
→ 예산 내에서 활용 횟수 조정 가능
✔ 여러 서비스 병행 이용 시 전체 예산을 합산해서 조절 가능
요약정리
월 예상 부담금(예시)
구분 | 본인부담율 | 월 예상 부담금(예시) |
일반 | 15% | 방문요양 월 3~5만 원 |
감경(차상위) | 6~9% | 방문요양 월 1만~3만 원 |
기초생활수급자 | 0% | 무료 |
반응형
'노인장기요양보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감경 대상자 & 저소득층 혜택 총정리 (0) | 2025.07.13 |
---|---|
단기보호·복지용구 등 기타급여 총정리 (2) | 2025.07.11 |
우리 부모님께 맞는 돌봄 서비스는 무엇일까? (1) | 2025.07.1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