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노인장기요양보험

장기요양 본인부담금 계산법 총정리

by 웰프로 2025. 7. 13.
반응형

장기요양보험 비용 구조 먼저 이해하기

장기요양서비스는

총 이용 금액(급여비용) 중 일정 비율만 본인이 부담합니다.


구분 본인부담 비율
일반 대상자 15%
경감 대상자(감경자) 9% 또는 6%
기초생활수급자 0% (전액 무료)
 

본인부담금 계산 공식

본인부담금 = 월 서비스 이용금액 × 본인부담율

실제 사례별 계산 예시

 예시 1) 방문요양 하루 1시간씩 주 5회 이용

  • 월 약 20회, 1회 단가 약 13,000원
  • 총 이용 금액: 13,000 × 20 = 260,000원
본인부담 비율 대상자부담률 본인부담금
일반 15% 260,000 × 0.15 = 39,000원
경감(9%) 9% 260,000 × 0.09 = 23,400원
수급자 0% 0원 (무료)
 

 예시 2) 주야간보호 하루 8시간씩 주 3회

하루 약 40,000원, 월 12회 → 총 이용금액: 480,000원

대상자 부담률 본인부담금
일반 15% 480,000 × 0.15 = 72,000원
경감(6%) 6% 480,000 × 0.06 = 28,800원
수급자 0% 0원
 

 본인부담 경감 대상자는 누구인가요?


구분 감경율 해당 조건
기초생활수급자 100% 감면 건강보험료 0원
차상위계층 94% 감면 (6% 부담) 건강보험료 약 3만 원 이하
일반 저소득층 8591% 감면 (915% 부담) 건강보험료 일정 수준 이하 (소득에 따라)
 

 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자동 심사 및 적용
등급 신청 시 함께 확인 가능


 추가로 드는 비용은?

항목 내용
식사비 주야간보호 등에서 급식비 별도(1식 약 3,000~5,000원)
교통비 무료 차량운행 제공(센터별 다름)
복지용구 연 160만 원 한도 내 → 구입 시 일부 본인부담금 발생
추가 서비스 비급여 항목은 별도 비용 발생 가능 (예: 미용, 간식 등)
 

 본인부담금 낮추는 팁!

✔ 장기요양등급이 결정되면
 → 반드시 소득 기준에 따라 감면 신청 여부 확인
✔ 한 달 이용 계획표(이용계획서)를 작성할 때
 → 예산 내에서 활용 횟수 조정 가능
여러 서비스 병행 이용 시 전체 예산을 합산해서 조절 가능


 요약정리

월 예상 부담금(예시)
구분 본인부담율 월 예상 부담금(예시)
일반 15% 방문요양 월 3~5만 원
감경(차상위) 6~9% 방문요양 월 1만~3만 원
기초생활수급자 0% 무료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