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1. 단기보호 (단기입소)
어떤 서비스인가요?
- 어르신이 요양시설에 1일~몇 주간 잠시 입소해
숙식, 간호, 돌봄을 받는 서비스입니다. - 가족의 여행, 병원입원, 명절 등 일시적으로 돌봄이 어려울 때 유용!
주요 대상
- 장기요양등급자 (1~5등급, 인지지원등급 포함)
- 혼자 계시기 어려운 상황에서 단기간만 시설 이용 필요한 경우
서비스 내용
- 24시간 생활지원, 식사·목욕·배변 보조
- 간호조무사 또는 간호사의 건강관리
- 인지활동, 여가활동 등 센터 내 프로그램
이용 팁
- 시설별로 예약 필수, 사전 상담 필요
- 긴급보호 시 당일 입소도 가능한 경우 있음
2. 🦽 복지용구 급여
어떤 서비스인가요?
- 어르신의 안전한 생활을 돕는 보조기기를
구입 또는 대여할 수 있도록 비용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
주요 품목 예시
구분품목방식
🪑 이동 보조 | 휠체어, 보행기 | 대여 |
🚿 욕실 안전 | 목욕의자, 미끄럼방지매트 | 구매 |
🛏️ 침실 안전 | 전동침대, 안전손잡이 | 대여 |
🧻 위생 편의 | 요실금 팬티, 자세변환용 방석 | 구매 |
급여 조건
- 장기요양등급 1~5등급 수급자
- 연간 최대 160만 원 한도 내 지원
- 지정된 복지용구 사업소에서 구입 또는 대여해야 급여 적용됨
💡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감경 대상자는 본인부담금 0~15%
3. 가족요양비 (가족요양급여)
✔ 어떤 서비스인가요?
- 가족(자녀, 배우자 등)이 직접 어르신을 돌보는 경우
매월 일정 금액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✔ 지급 조건
조건내용
어르신 등급 | 장기요양등급 1~2등급 (일부 3등급) |
돌보는 사람 | 가족 중 등록된 요양보호사 자격자 |
다른 서비스 | 방문요양 등 재가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아야 함 |
월 지급액 | 약 15만~21만 원 수준 (등급에 따라 다름) |
✔ 가족이 매일 돌보되, 공단과 계약한 요양보호사 자격을 갖춰야 함
4. 📋 특별현금급여 (사례별 제공)
- 도서벽지, 시설 부족 지역,
또는 **긴급 상황(자녀가 입원 중 등)**에는
일시적으로 현금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.
✔ 공단에 상담 시 맞춤 안내 가능
✔ 단기요양시설이 없거나, 이동수단이 없을 때 사용
요약 비교표
급여명주요 내용대상비고
단기보호 | 시설 입소형 단기돌봄 | 등급자 전체 | 보호자 부재 시 활용 |
복지용구 | 보조기기 대여/구입 지원 | 등급자 전체 | 연 160만 원 한도 |
가족요양비 | 가족이 직접 돌봄 시 현금 지급 | 1~2등급, 요건 충족 | 방문요양과 병행 불가 |
특별현금급여 | 도서산간 등 사각지대 현금 지원 | 제한적 대상 | 공단 승인 필요 |
이런 상황이라면 꼭 활용하세요!
✔ 명절이나 휴가 중 어르신 돌봄이 걱정된다
→ ✅ 단기보호
✔ 침대에서 자주 미끄러진다 / 혼자 화장실 못 간다
→ ✅ 복지용구 (손잡이, 이동변기 등)
✔ 가족이 매일 직접 돌보는데 별도 요양서비스를 못 받는다
→ ✅ 가족요양비 신청
✔ 시골이라 요양기관이 멀고 방문서비스가 어렵다
→ ✅ 특별현금급여 가능 여부 공단에 문의
반응형
'노인장기요양보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우리 부모님께 맞는 돌봄 서비스는 무엇일까? (0) | 2025.07.10 |
---|---|
방문목욕서비스, 어떻게 진행될까? (0) | 2025.07.09 |
방문간호서비스 언제 필요한가요? (1) | 2025.07.08 |